과학/생물 I

003. 생명체의 종족 유지를 위한 특성

絡狼 2015. 3. 5. 19:09

001

생명체는 생식과 유전을 통하여 종족을 보전한다. 

생식이라는 말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물체가 자신과 닮은 개체를 만들어 종족을 보존하는 현상   

생식에는 크게 두 가지 분류가 있습니다. 그 첫 번째로는 유성 생식이 있는데요, 유성생식은 암컷과 수컷간의 교배로 인하여 암컷의 생식 세포와 수컷의 생식 세포가 서로 만나야만 번식할 수 있는 생식법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무성 생식이 있습니다. 무성생식은 암컷과 수컷의 교배가 필요없이, 즉 생식 세포의 수정이 없어도 번식할 수 있는 생식법입니다. 무성생식은 그 예를 세분화하여 "이분법", "출아법", "영양생식"으로 나눕니다. (무성생식의 종류를 보려면 이쪽을 CLICK)

지구 상의 어떤 생물은 무성생식으로 번식하고, 또 어떤 생물은 유성생식으로 번식합니다. 만약 어느 한쪽이 월등히 좋았다면,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이 동시에 공존하지 않고 한 쪽이 없어졌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아직도 무성 생식과 유성 생식이 동시에 공존합니다. 

먼저, 무성 생식에 대해서 탐구해봅시다.

무성 생식은 유성 생식에서처럼 수정이 필요 없어서 번식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또, 무성 생식은 생식 과정 도중에 핵분열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어버이 세대의 DNA가 고스란히 자손 세대로 내려옵니다. 이는 어버이의 우수한 형질을 보손할 수 있다장점으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도중에 DNA가 변하지 않으면 유전자 다양성이 매우 적게 됩니다. 따라서, 만일 환경 변화가 생기면 무성 생식을 하는 종은 멸종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왜냐하면 종의 어떤 생물이든 그 바뀐 환경에 알맞은 유전자가 없기 때문이겠죠. 이것은 무성 생식의 치명적인 단점입니다.

이에 반하여, 유성 생식은 무성 생식에 비해 번식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것이 단점이지만, 생식 과정 도중에 핵의 분열이 일어나 유전자가 서로 바뀌기 때문에 자손이 매우 다양한 유전자를 가지게 됩니다. 이는 환경이 변해도 무성 생식하는 생물과 달리 적응이 매우 쉬워, 궁극적인 장점이 되겠습니다.

 

002

적응과 진화

적응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물체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몸의 구조나 형태, 생활 습성 등을 변화시키는 현상

즉, 적응이라는 것은 <환경에 따라 일시적으로 몸의 구조와 습성을 환경에 맞게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적응이라는 것은 일시적으로 몸을 바꾸는 것으로, 만약 어떤 환경에 적응된 생명체가 새로운 환경에 처하면 빠른 시간 내에 다시 적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사막에 사는 캥거루 쥐는 진한 오줌을 조금밖에 눕니다. 또, 선인장은 식물인데도 불구하고 사막에 살게 되어 잎이 가시로 변했습니다. 만약 이런 식물들이 다른 환경에 처해진다면 (극단적인 환경 변화가 아니라면) 그 환경에 적응하여 또 다른 새로운 적응을 할 것입니다.

또, 이와 비슷한 의미인 진화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물이 환경에 적응하면서 유전자가 변화해 새로운 종으로 분화되는 현상

즉, 진화라는 것은 <지속적으로 적응하게 되어, 이 현상이 자손 세대까지 전해져 유전자에 변화가 생기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진화라는 것은 아예 기본적인 것까지 몸을 바꾸는 것으로, 만약 그 환경에 맞게 진화가 된 생명체를 다른 환경에 넣어보면 그 생명체는 그렇게 쉽게 진화하지 못할 것입니다.

이 진화의 대표적인 예는 "갈라파고스 군도에 적응하게 되어 부리가 달라지게 된 핀치새들"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예는 다윈이 진화설을 주장하게 된 첫 번째 사례였기 때문에 매우 유명하기 때문에 시험에는 자주 나오는 것 같습니다.  

'과학 > 생물 I'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1  (0) 2018.06.10
005. 바이킹의 탐사 실험 (2)  (2) 2015.03.07
004. 바이킹호의 탐사 실험 (1)  (0) 2015.03.07
002. 생명체의 개체 유지를 위한 특성 (2)  (0) 2015.03.05
001. 생물의 개체 유지를 위한 특성 (1)  (0) 201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