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생물 I 6

12-01

12장 Gene Expression at the Molecular Level One-gene/one-enzyme hypothesis 유전자는 우리 인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정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는 바로 전 장, 11장에서 배운 적이 있습니다. 우리 몸은 유전자를 이용해 우리 몸을 구성하는 물질들을 만듭니다. 이때 이 과정을 유전자 발현(Gene Expression)이라 부릅니다. 그렇다면 유전자 발현은 어떻게 가능할까요? 1940년대 초, 미국 과학자인 조지 비들(George Beadle)과 에드워드 타텀(Edward Tatum)은 유전자가 어떻게 발현되는지에 관한 실험입니다. 이들은 속칭 빵 곰팡이(Neurospora)라는 물질에 대해 관심을 가졌습니다. 왜 빵 곰팡이일까요? 빵..

과학/생물 I 2018.06.10

005. 바이킹의 탐사 실험 (2)

002 이화작용 실험 [가설 설정] 화성의 토양에 이화작용을 하는 생명체가 있다. [실험 과정] 1. 화성 토양을 넣은 용기에 방사성 동위원소 14C를 포함한 영양분 용액을 첨가한다. 2. 시간이 지난 후, 방사능 계측기의 변화를 측정한다. [실험 분석] 이화 작용은 고분자 유기물을 저분자 물질로 분해하는 과정으로, 여기서는 14C를 포함한 영양분 용액이 고분자 유기물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만약 생명체가 이화 작용을 한다면 이 영양분 용액이 분해되어 14C를 포함하는 기체가 생성될 것입니다. 즉, 방사선을 내뿜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화 작용을 한다면 방사선을 내뿜을 것이므로, 방사능 계측기에도 변화가 생길 것입니다. [실험 결과] 아무런 변화도 일어나지 않았다. [실험 결론] 화성 토양에는 이화 작용을..

과학/생물 I 2015.03.07

004. 바이킹호의 탐사 실험 (1)

1976년, 화성에 간 바이킹호는 화성의 표면에 생명체가 존재하는가에 대한 대답을 과학적으로 대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3가지 실험을 행합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는 그 어떤 것에도 만족할 만한 대답이 나오지 않아 실패했다고 생물 I에서는 알려줍니다. 하지만, 사실은 이 실험 모두 다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렇지만 결국 이 실험은 신빙성 없는 결과로 판명되었는데요, 이는 왜냐하면 어떠한 조건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었습니다. 만약 이 결과가 신빙성 있으려면, 조건이 변화하면 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아야 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실험은 앞서 배운 생물이라면 반드시 해야 하는 "생명의 특성" 중 하나인 물질대사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생명의 물질대사와 관계지어서 많이 나옵니다. 즉, 매우 ..

과학/생물 I 2015.03.07

003. 생명체의 종족 유지를 위한 특성

001 생명체는 생식과 유전을 통하여 종족을 보전한다. 생식이라는 말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물체가 자신과 닮은 개체를 만들어 종족을 보존하는 현상 생식에는 크게 두 가지 분류가 있습니다. 그 첫 번째로는 유성 생식이 있는데요, 유성생식은 암컷과 수컷간의 교배로 인하여 암컷의 생식 세포와 수컷의 생식 세포가 서로 만나야만 번식할 수 있는 생식법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무성 생식이 있습니다. 무성생식은 암컷과 수컷의 교배가 필요없이, 즉 생식 세포의 수정이 없어도 번식할 수 있는 생식법입니다. 무성생식은 그 예를 세분화하여 "이분법", "출아법", "영양생식"으로 나눕니다. (무성생식의 종류를 보려면 이쪽을 CLICK) 지구 상의 어떤 생물은 무성생식으로 번식하고, 또 어떤 생물은 유성생식으..

과학/생물 I 2015.03.05

002. 생명체의 개체 유지를 위한 특성 (2)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003 모든 생명체는 발생과 생장을 한다. 우리는 흔히 생장을 성장과 그 의미의 차이를 별로 신경쓰지 않고, 신경쓰려고 해도 매우 헷갈려서 신경 쓰고 싶지도 않아합니다. 하지만 과학에서는 그 의미가 매우 중요하므로, 여기서 한 번 짚고 넘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성장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물체의 크기, 무게, 부피가 증가하는 일. 발육(發育)과는 구별되며, 형태의 변화가 따르지 않는 증량(增量)을 이른다. 출처 : . 그리고, 생장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물체의 원형질과 그 부수물의 양이 늘어나는 일. 출처 : . 즉, 성장은 고, 생장은 라는 뉘앙스입니다. 하지만 애초에 수능 과목인 생물 I에서 이것이 생장인가 성장인가 구분하는 문제는 잘 나오지 ..

과학/생물 I 2015.03.05

001. 생물의 개체 유지를 위한 특성 (1)

생물 I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앞서, 생명체의 특성이 어떤 것인지 우선 알아야 합니다. 생명체의 특성에는 개체를 유지하기 위하는 데에 쓰이는 특성과 종족 전체를 보존하기 위해 쓰이는 특성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우선 개체를 유지하기 위해 쓰이는 특성을 먼저 보고, 다음 글에서 종족 전체를 보존하기 위해 쓰이는 특성을 보겠습니다. 001 생명체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생물체는 언제나 항상, 구조적/기능적 기본 단위를 세포로 가집니다. 이 말을 거꾸로 뒤집어서 말하면, 만약 어떤 생물이 세포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이것은 생명체라 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세포라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세포라는 것이 어떤 것인가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시 배우실 것입니다. 세포가 어떤 구조를 가지는 가에 대해..

과학/생물 I 201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