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상 | 진행/반복상 | 완료상 | |
과거 | 단순과거 Aorist tense |
과거시제 Imperfect tense |
과거완료시제 Pluperfect tense |
현재 | 현재시제 Present tense |
완료시제 Perfect tense |
|
미래 | 미래시제 Future tense |
미래완료시제 Future perfect tense |
희랍어의 동사 시제
접속법(Subjunctive)과 희구법(Optative)은 문맥에 따라 해석의 의미가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이렇게 해석해야 한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사용례가 이리저리 갈리기 때문에, 여기서 일괄적으로 나열하면 오히려 더 큰 혼란만 불러올 것 같습니다. 다만, 가정법(접속법의 또 다른 이름)은 이름 그대로 '가정'하는 상황에서 많이 쓰이고, 희구법은 무언가를 바라는 상황에서 많이 쓰입니다.*
다만, 접속법과 희구법 모두 시제를 갖지 않고 오직 상(相)에만 의존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습니다. 즉, 과거, 현재, 미래의 개념은 접속법과 희구법에겐 존재하지 않고, 오직 지금 표현하고자 하는 동작이 단순상에 해당하는지, 진행/반복상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완료상에 해당하는지만이 중요합니다.
가정법 능동태 현재시제
말이 현재시제지만, 현재 시제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진행/반복상만을 가질 뿐입니다. 현재 시제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현재 시제가 기본적으로 진행/반복상을 나타내기 때문인 것도 있지만, 능동태 현재 핵심 형태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가정법 능동태 현재시제의 어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ω | -ωμεν |
2인칭 | -ῃς | -ητε |
3인칭 | -ῃ | -ωσι(ν) |
위 어미들을 관찰하면, 아래와 같은 사항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 가정법 능동태 현재시제의 어미들은 직설법 능동태 현재시제의 어미들을 길게 늘린 것입니다. 특히, 직설법 능동태 현재시제는 2인칭 단수를 나타낼 때 -εις라는 어미를 사용하는데, 이들 첫 번째 글자를 길게 늘리면 -ηις가 되고, 이는 -ῃς와 동일합니다. (이오타 아래첨자는 따로 옆에 병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직설법 능동태 완료시제에서는 3인칭 단수가 -ᾱσι(ν)이었지만 가정법 능동태 현재시제에서는 3인칭 단수가 -ωσι(ν)이 됩니다.
παιδεύω(가르치다)를 예시로 한번 가정법 능동태 현재시제로 활용해보겠습니다. παιδεύω의 핵심 형태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παιδεύω, παιδεύσω, ἐπαίδευσα, πεπαίδευκα, πεπαίδευμαι, ἐπαιδεύθην
παιδεύω의 능동현재 핵심 형태는 παιδεύω입니다. 즉,
단수 | 복수 | |
1인칭 | παιδεύω | παιδεύωμεν |
2인칭 | παιδεύῃς | παιδεύητε |
3인칭 | παιδεύῃ | παιδεύωσι(ν) |
가정법 능동태 현재시제의 1인칭 단수가 직설법 능동태 현재시제와 동일합니다. 이들은 문맥으로밖에 구분할 수 없습니다.
가정법 능동태 단순과거시제
말이 단순과거시제지만, 단순 과거 시제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단순상만을 가질 뿐입니다. 이 시제는 능동태 단순과거 핵심 형태를 사용합니다. 이때 가정법 능동태 단순과거시제의 어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ω | -ωμεν |
2인칭 | -ῃς | -ητε |
3인칭 | -ῃ | -ωσι(ν) |
위 어미들을 관찰하면, 아래와 같은 사항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 가정법 능동태 단순과거시제의 어미들은 가정법 능동태 현재시제의 어미와 동일합니다.
παιδεύω(가르치다)를 한번 가정법 능동태 단순과거시제로 활용해보겠습니다. παιδεύω의 핵심 형태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παιδεύω, παιδεύσω, ἐπαίδευσα, πεπαίδευκα, πεπαίδευμαι, ἐπαιδεύθην
παιδεύω의 능동 단순과거의 핵심 형태는 παιδεύσω입니다. 즉,
단수 | 복수 | |
1인칭 | παιδεύσω | παιδεύσωμεν |
2인칭 | παιδεύσῃς | παιδεύσητε |
3인칭 | παιδεύσῃ | παιδεύσωσι(ν) |
이번에는 가정법 능동태 단순과거시제의 1인칭 단수가 직설법 능동태 미래시제의 1인칭 단수와 동일합니다. 역시 문맥으로 해결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가정법 능동태 완료시제
말이 완료시제지만, 완료 시제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완료상만을 가질 뿐입니다. 이 시제는 능동태 완료시제의 핵심 형태를 사용합니다. 이때 가정법 능동태 단순과거시제의 어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ω | -ωμεν |
2인칭 | -ῃς | -ητε |
3인칭 | -ῃ | -ωσι(ν) |
위 어미들을 관찰하면, 아래와 같은 사항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 가정법 능동태 완료시제의 어미들은 가정법 능동태 현재시제의 어미와 동일합니다.
παιδεύω(가르치다)를 한번 가정법 능동태 완료시제로 활용해보겠습니다. παιδεύω의 핵심 형태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παιδεύω, παιδεύσω, ἐπαίδευσα, πεπαίδευκα, πεπαίδευμαι, ἐπαιδεύθην
παιδεύω의 능동 단순과거의 핵심 형태는 πεπαίδευκα입니다. 즉,
단수 | 복수 | |
1인칭 | πεπαιδεύκω | πεπαιδεύκωμεν |
2인칭 | πεπαιδεύκῃς | πεπαιδεύκητε |
3인칭 | πεπαιδεύκῃ | πεπαιδεύκωσι(ν) |
가정법 능동태 완료시제는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희랍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센트의 위치 (0) | 2021.02.01 |
---|---|
능동태의 현재시제, 과거시제, 완료시제 (희구법) (0) | 2021.02.01 |
능동태의 완료시제 및 과거완료시제 (직설법) (0) | 2021.02.01 |
능동태의 미래시제와 단순과거시제 (직설법) (0) | 2021.02.01 |
능동태의 현재시제와 과거시제 (직설법) (0) | 2021.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