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7

전치사

앞서 명사의 격에 대해 설명할 때, 아래와 같이 명사가 직접 목적어로 쓰이면 대격을, 간접 목적어로 쓰이면 여격을 쓴다고 말했습니다. 주격(Nominative) 문장의 주어, 서술어 소유격(Genitive) 명사가 다른 명사를 수식함 해당 명사로부터 멀어짐 여격(Dative) 간접 목적어 '~에게', 도구 '~(으)로' 해당 명사 안, 혹은 위에 존재함 대격(Accusative) 직접 목적어 '~을/를' 해당 명사에 가까워짐 호격(Vocative) 명사 직접 호출 '~야', '~(이)여' 그런데 "해당 명사로부터 멀어짐", "해당 명사에 가까워짐"에 해당하는 용법도 각각 존재했죠. 이러한 형태는 소유격, 여격, 대격 그 자체로는 의미를 갖지 않고 전치사가 동반되어야만 비로소 의미를 갖게 됩니다. 오늘은 ..

희랍어 2021.02.04

형용사의 위치

형용사는 명사를 제한하기도 하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한국어를 예시로 들자면, 그 멋진 사람은 어디로 간 걸까. ('멋지다'가 '사람'의 의미를 제한함.) 그 사람은 멋지다. ('멋지다'가 '사람'을 설명함.) 각 상황에서 형용사의 위치는 서로 다릅니다. 형용사가 명사의 의미를 '제한'하는 용도로 사용될 때는 명사 앞에 옵니다. 하지만 형용사가 명사를 '설명'하는 용도로 사용될 때는 명사 뒤에 옵니다. 즉, 형용사의 위치에 따라 이 형용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희랍어에도 형용사가 어느 위치에 오느냐에 따라 그 형용사가 문장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가 달라집니다.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제한)하는 역할을 할 때, 형용사가 관형적 위치(attributive position)에 온다고 봅니다..

희랍어 2021.02.04

1변화/2변화 형용사

한국어에서는 형용사가 동사와 같이 서술어로 쓰이고, 동사와 비슷하게 활용됩니다.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방식으로 제한하기도 하며, 명사를 설명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 사람 정말 예쁘더라. (명사를 설명하는 역할) 드라마에는 멋진 사람들이 많다.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 희랍어는 형용사를 명사와 붙어 다니는 존재라 인식하며, 그렇기 때문에 희랍어의 형용사는 명사와 비슷하게 변합니다. 오늘은 형용사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변화/2변화 형용사 형용사는 명사의 수, 성, 그리고 격에 맞춰 변화합니다. 예를 들어서, 형용사 ἀγαθος(좋은)은 아래와 같이 변합니다. 단수 복수 남성 여성 중성 남성 여성 중성 주격 ἀγαθός ἀγαθή ἀγαθόν ἀγαθοί ἀγαθαί..

희랍어 2021.02.03

2변화 명사 -ος, -ον

희랍어의 2변화 명사는 -ος, 혹은 -ον으로 끝납니다. 이때, -ος로 끝나는 명사들은 대체로 남성/여성 명사로 분류되며, -ον으로 끝나는 명사들은 중성 명사로 분류됩니다. 이는 -ος로 끝나는 명사들은 남성 관사처럼 변화하며, -ον으로 끝나는 명사들은 중성 관사처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남성 관사처럼 변한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중성 관사처럼 변한다는 것은 또 무슨 뜻일까요? 단수 복수 남성 여성 중성 남성 여성 중성 주격 ὁ ἡ τό οἱ αἱ τά 소유격 τοῦ τῆς τοῦ τῶν τῶν τῶν 여격 τῷ τῇ τῷ τοῖς ταῖς τοῖς 대격 τόν τήν τό τοῦς τάς τά 희랍어의 관사 체계 1변화 명사들 중 -ᾱ, -α 그리고 -η로 끝나는 명사들은 여성 관사처..

희랍어 2021.02.03

1변화 명사 -ας, -ης

-ης로 끝나는 명사들은 전부 1변화 명사입니다. 예시로 πολίτης(시민), ποιητής(시인), στρατιώτης(병사)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전부 남성 명사입니다. -ης로 끝나는 명사들은 아래와 같이 격변화합니다. 단수 복수 주격 -ης -αι 속격 -ου -ῶν 여격 -ῃ -αις 대격 -ην -ᾱς 호격 -η (간혹 -α) -αι 이 표를 통해 아래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ης로 끝나는 명사들은 전반적으로 -η로 끝나는 명사와 비슷하게 활용됩니다. 다만, -η로 끝나는 명사는 단수 속격 어미가 -ης였지만, -ης로 끝나는 명사는 -ου가 됩니다. 1변화 명사는 호격과 주격이 서로 동일합니다. 하지만 -ης로 끝나는 명사는 호격과 주격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η가 호격 어..

희랍어 2021.02.03

관사와 1변화 명사 -η, -α

희랍어에서 명사들은 자신이 어떤 격에 있는지에 따라 그 모습을 바꿉니다. 동사와 같이 어간과 어미가 존재하며, 격에 따라 어미가 바뀝니다. 이를 격변화라고 합니다. 관사의 격변화 희랍어는 관사를 명사 앞에 붙여주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영어의 the, 프랑스의 le/la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희랍어는 영어보다 관사를 좀 더 적극적으로 사용합니다. 영어의 the 처럼, 이미 언급된 대상을 굳이 더 언급하지 않고 생략할 때 사용됩니다. He is the philosopher. (저 남자가 그 철학자야.) 그런데 희랍어에서는 관사를 영어보다 더 적극적으로 사용합니다. 거의 모든 명사 앞에 관사가 붙습니다. 명사들의 격변화가 매우 복잡해서 경우에 따라서는 이게 대체 무슨 격으로 변화했는지 ..

희랍어 2021.02.02

명사의 격(格)과 분류

명사의 격(格) 명사는 문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어에서 명사가 가질 수 있는 격을 총 네 개, 주격, 소유격, 여격, 대격, 호격 이 다섯 가지로 분류합니다. 우선, 문장에서 명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위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주격(Nominative) 첫 번째로, 주격은 명사가 문장에서 주어의 역할을 할 때를 가리킵니다. 한국어의 경우 '~이/가'라는 조사를 명사 뒤에 붙여 이 단어가 주격을 갖는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경찰이 범인을 잡았다. 두 번째로, 주격은 명사가 문장에서 서술어의 역할을 할 때를 가리킵니다. 한국어의 경우 서술격 조사 '~이다'로 이를 나타내주죠. 그는 학생이다. 또, 단독적으로 명사의 이름을 거론할 때 주격을 사용합니다. 즉, 명사만을 따로 떼어..

희랍어 2021.02.02

악센트의 위치

희랍어는 악센트를 매우 중요하게 여깁니다. 어느 음절에 악센트가 오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요소들이 몇 있습니다. 현대 그리스어에는 악센트가 단 한 종류만 존재하지만, 희랍어는 악센트가 총 세 종류 존재합니다. 고 강세(acutus), 저 강세(gravis), 그리고 고저 강세(circumflex). 다른 언어 같으면 이 강세를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를 매우 공들여 설명하겠지만, 현대인 중에서 희랍어를 모어 음성 언어로써 구사하고 있는 사람이 없기에 여기선 생략하고 넘어가겠습니다. 희랍어의 거의 모든 단어에는 강세가 존재합니다. 강세가 존재하지 않는 단어를 세는 게 오히려 더 빠를 정도지요. 그런데 희랍어의 강세는 무조건 단어의 마지막 세 음절 중 하나에 옵니다. 즉, 마지막 음절, 뒤에서 두 번째 ..

희랍어 2021.02.01

능동태의 현재시제, 과거시제, 완료시제 (희구법)

희구법 능동태 현재시제 말이 현재시제지만, 현재 시제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진행/반복상만을 가질 뿐입니다. 현재 시제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현재 시제가 기본적으로 진행/반복상을 나타내기 때문인 것도 있지만, 능동태 현재 핵심 형태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가정법 능동태 현재시제의 어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수 복수 1인칭 -οιμι -οιμεν 2인칭 -οις -οιτε 3인칭 -οι -οιεν 위 어미들을 관찰하면, 아래와 같은 사항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1인칭 단수를 제외하면 전부 직설법 능동태 현재시제의 각 어미의 맨 앞글자를 οι로 바꾸는 방식으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παιδεύω(가르치다)를 예시로 한번 희구법 능동태 현재시제로 활용해보겠습니다. παιδεύω의 핵심 형태들은..

희랍어 2021.02.01

능동태의 현재시제와 단순과거시제(접속법=가정법)

단순상 진행/반복상 완료상 과거 단순과거 Aorist tense 과거시제 Imperfect tense 과거완료시제 Pluperfect tense 현재 현재시제 Present tense 완료시제 Perfect tense 미래 미래시제 Future tense 미래완료시제 Future perfect tense 희랍어의 동사 시제 접속법(Subjunctive)과 희구법(Optative)은 문맥에 따라 해석의 의미가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이렇게 해석해야 한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사용례가 이리저리 갈리기 때문에, 여기서 일괄적으로 나열하면 오히려 더 큰 혼란만 불러올 것 같습니다. 다만, 가정법(접속법의 또 다른 이름)은 이름 그대로 '가정'하는 상황에서 많이 쓰이고, 희구법은 무언가를 바라는 상황..

희랍어 202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