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상 | 진행/반복상 | 완료상 | |
과거 | 단순과거 Aorist tense |
과거시제 Imperfect tense |
과거완료시제 Pluperfect tense |
현재 | 현재시제 Present tense |
완료시제 Perfect tense |
|
미래 | 미래시제 Future tense |
미래완료시제 Future perfect tense |
희랍어의 동사 시제
능동태에서의 직설법 현재시제와 직설법 과거시제는 앞으로 배울 능동태의 모든 활용이 기준이 되므로 반드시 익히고 넘어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직설법 현재시제
위 표에서 현재시제는 현재, 그리고 진행/반복상을 표현합니다. 즉, 현재 시점에서 어떤 행위가 진행되고 있거나 반복되고 있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그는 밥을 먹고 있다, 혹은 그는 (계속 예전부터) 밥을 먹는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회전한다가 이런 시제에 적합하겠습니다. 희랍어에서는 현재 시제 핵심 형태를 아래와 같이 수와 인칭에 따라 활용합니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ω | -ομεν |
2인칭 | -εις | -ετε |
3인칭 | -ει | -ουσι(ν) |
3인칭 복수에 붙는 ν은 보통 이 동사 다음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거나, 이 동사가 문장 끝에 쓰일 때에 붙여줍니다. 붙이지 않아도 문법 상으로 틀리지 않습니다. 가르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παιδεύω'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παιδεύω | παιδεύομεν |
2인칭 | παιδεύεις | παιδεύετε |
3인칭 | παιδεύει | παιδεύουσι(ν) |
직설법 과거시제
맨 위 표에서, 과거시제는 과거, 그리고 진행/반복상을 표현합니다. 한국어의 경우 '그는 밥을 먹고 있었다', '그는 아이들을 (주기적으로) 가르쳤다'가 이 과거시제에 해당하는 말이겠습니다. 희랍어에서는 현재 시제 핵심 형태 맨 앞에 ἐ를 붙인 것을 직설법 과거시제의 기준 형태로 삼습니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ον | -ομεν |
2인칭 | -ες | -ετε |
3인칭 | -ε | -ουσι(ν) |
직설법 과거시제의 복수형에서 쓰이는 어미는 직설법 현재시제의 복수형의 것과 동일합니다. 만약 이 둘을 구분하고 싶다면, 맨 앞에 ἐ가 붙어 있는지 아닌지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앞에 ἐ가 없다면 능동태의 직설법 현재시제이며, 앞에 ἐ가 있다면 능동태의 직설법 과거시제입니다.
'가르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παιδεύω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παιδεύω의 핵심 형태를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παιδεύω, παιδεύσω, ἐπαίδευσα, πεπαίδευκα, πεπαίδευμαι, ἐπαιδεύθην
맨 앞에 있는 παιδεύω가 능동 현재 시제 핵심 형태입니다. 그러므로,
단수 | 복수 | |
1인칭 | ἐπαίδευον | ἐπαιδεύομεν |
2인칭 | ἐπαίδευες | ἐπαιδεύετε |
3인칭 | ἐπαίδευε | ἐπαιδεύον |
능동태의 직설법 과거시제의 경우 1인칭 단수와 3인칭 복수가 서로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이 둘을 그러면 어떻게 구분할까요? 문맥 상으로 구분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연습문제
1. ἐπαιδεύε는 무슨 형태일까요? (참고 : παιδεύω, παιδεύσω, ἐπαίδευσα, πεπαίδευκα, πεπαίδευμαι, ἐπαιδεύθην, 가르치다)
ἐ + παιδεύ +ε형태이죠. 능동현재시제 핵심 형태를 사용했고, 앞에 ἐ가 붙어있으니 능동태의 직설법 과거시제입니다. 어미는 3인칭 단수를 썼군요. 즉, 능동태의 직설법 과거 시제 3인칭 단수가 정답입니다. 해석하자면 '그는 가르쳤다'입니다.
2. πέμπομεν는 어떤 형태일까요? (참고 : πέμπω, πέμψω, ἔπεμψα, πέπομφα, πέπεμμαι, ἐπέμφθην, 보내다)
πέμπ+ομεν형태이죠. 능동현재시제 핵심형태를 사용했습니다. 앞에 ἐ가 안 붙어 있으니 능동태의 직설법 현재시제군요. 뒤에 ομεν이 붙어 있으니 1인칭 복수입니다. 즉, 능동태의 직설법 현재 시제 1인칭 복수가 정답입니다. 해석하자면 '우리는 보낸다'입니다.
밑줄 친 부분을 주어진 형태로 알맞게 바꿔봅시다.
3. Ὅμηρος παιδεύω τὸν ἄδελφον. 호메로스는 그의 형제들을 가르치고 있다. (능동태 직설법 현재시제)
주어를 보아하니 3인칭 단수를 써야겠습니다. 그러면 παιδεύει가 제일 적합할 것 같습니다.
4. παιδεύω τὸν δήμου. 너는 시민들을 가르치고 있었다. (능동태 직설법 과거시제)
주어를 보아하니 2인칭 단수를 써야 겠습니다. 답은 ἐπαιδεύες입니다.
주어진 동사를 원하는 형태에 알맞게 바꿔봅시다.
5. πέμπω (능동태 직설법 현재시제 2인칭 복수) 보내다
πέμπετε
6. παιδεύω (능동태 직설법 과거시제 2인칭 복수) 가르치다
ἐπαιδεύετε
7. κέλευω (능동태 직설법 현재시제 1인칭 복수) 시키다, 지시하다
κελεύομεν
8. παιδεύω (능동태 직설법 과거시제 3인칭 복수) 가르치다
ἐπαίδευον
'희랍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동태의 현재시제와 단순과거시제(접속법=가정법) (0) | 2021.02.01 |
---|---|
능동태의 완료시제 및 과거완료시제 (직설법) (0) | 2021.02.01 |
능동태의 미래시제와 단순과거시제 (직설법) (0) | 2021.02.01 |
희랍어 동사의 어간 변화 (0) | 2021.02.01 |
희랍어의 동사 변화 (0) | 2021.02.01 |